아프리카 대륙 내 나라간의 지원
일론 머스크의 고향 남아공은 아프리카에서도 상대적으로 잘 사는 나라인듯 했다
아프리카라고 해서 다 못사는것은 아닌것이다
일론 머스크의 아버지도 부자에 속했다고 들었다. 책에서.. 자서전에서, 나왔던것 같은데 부유한편이었다. 그래서 일론 머스크의 집이 가장 컸다나? 확실하지는 않다
여하튼, 기후가 괜찮은 지역에서는 물도 있고, 농사도 지을 수 있고 천연자원도 나기에 발전할 수 있었던듯하다
그런데 그런 부유한 아프리카의 국가가 과연 다른 못사는 아프리카 나라들을 돕는가 궁금해졌다
같은 대륙의 같은 인종이기는 해도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걸까?
현재 아프리카에서는 이슬람과 기독교가 대치중이기는 해도, 그래도 그걸 넘어서 인종이 생긴것이 비슷한데 뭔가 동지의식이 있지는 않을까 했다
그런데, 챗지피티에 물어보니 부유한 국가가 가난한 국가를 지원해주고 있기는 하지만 그 규모가 제한적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부유한 국가더라도 ‘그렇게’ 부유하지는 않으며, 또한 너무 오랫동안 지원을 함으로써 피로가 누적되어있기도 하다고 한다
소말리아같은 나라는 아주 오래전부터 지금까지도 전쟁중이니, 도와주는것도 한계가 있긴 할 것 같다
그러나 난민을 받아준다던가 그런것이라도 좀 잘해주면 좋겠다고 싶다
아니면 나라가 서로 합병을 하던가 말이다
사막으로 이루어진 나라같은 경우, 땅이 너무 척박하니, 차라리 다른 나라에 흡수되는게 어떨까 싶기도 하다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도 경제적 격차는 큽니다. 예를 들어:
- 상대적으로 잘 사는 나라들: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케냐, 모로코, 르완다, 보츠와나, 이집트 등 - 극심한 빈곤 국가들:
남수단, 차드, 부룬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니제르, 소말리아 등
그렇다면 질문하신 대로, 잘 사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주변 빈곤국을 지원하느냐?
▶ 답: 지원은 하고 있지만, 규모는 제한적입니다.
🔹 1. 아프리카 내부의 국가 간 지원은 존재함
✅ 대표 사례
지원국 | 수혜국 | 지원 내용 |
---|---|---|
남아공 | 르소토, 짐바브웨, 모잠비크 | 전력, 의약품, 식량, 난민 수용 |
케냐 | 남수단, 소말리아 | 군사훈련, 인도적 원조, 평화중재 |
르완다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평화유지군 파견, 경찰 인력 훈련 |
모로코 |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 | 농업기술, 교육 장학금, 인프라 원조 |
보츠와나 | 나미비아, 잠비아 | 보건, 광물 기술 노하우 공유 |
🔹 2. 아프리카 연합(AU) 및 지역 경제공동체의 협력
기구명 | 설명 |
---|---|
AU (아프리카 연합) | 국가 간 협력 촉진, 재해 및 내전 발생 시 구호 요청 및 공동 대응 |
ECOWAS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 | 서아프리카의 군사·경제·외교 통합 조직. 나이지리아가 주도적으로 평화유지군 및 난민 지원 |
SADC (남아프리카 개발공동체) | 남부 아프리카 지역 협력. 남아공이 중심 역할 |
🔹 3. 왜 지원 규모가 작은가?
❌ 제약 요인들:
- 자국 내 문제: 남아공, 나이지리아도 여전히 실업률, 범죄, 부패, 빈부격차가 심함
- 예산 한계: 선진국처럼 원조 예산이 크지 않음
- 정치적 갈등: 주변국과 외교적 긴장으로 지원이 불안정
- 원조 피로감: 장기적 분쟁 지역(소말리아, 남수단)에 대한 피로 누적
🔹 4.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지원하나?
- 기술 공유: 농업, 수자원 개발, 디지털 금융 등
- 군사 및 경찰 훈련: 안보 약국에 치안교육 제공
- 청년 교류: 대학 장학금, 직업 훈련, 교육 프로그램
- 자연재해/내전 발생 시: 긴급 구호 식량 및 의약품 제공
- 난민 수용: 남아공, 케냐, 우간다 등은 대규모 난민을 수용함
🔹 5.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
지원 유무 | 있다. 하지만 제한적이며 체계적이지 않음 |
지원 방식 | 인도적 지원, 치안 훈련, 기술 교류, 난민 수용 등 |
주요 지원국 | 남아공, 나이지리아, 르완다, 케냐, 모로코 등 |
한계 | 재정, 정치, 행정능력 부족. 내적 불안정성 |
기회 | 지역 연합체의 협력 확대, 민간 분야 연계 가능성 증가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