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가난한 나라는 농업으로 자급자족하는 곳이 많다고 한다
그런데 뭘로 자급자족 농사를 하는지 알아보려고 물어보았다
어느지역에서는 그러나 자급자족으로는 부족해서 작물을 수입하기도 한다고 한다
가난으로 인해 굶어죽는 사람이 있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질병과 굶주림
한편, 잘 사는 나라들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엄청나게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음식물 쓰레기가 전체 식량 생산의 1/3 수준이라고 한다
그렇게 버려지는 쓰레기들을 아프리카로 가져올 수는 없을까?

아프리카 사막 및 건조지역(특히 사헬 지대, 사하라 주변 등)에서 물 부족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농작물과 가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물이 적게 필요한 작물들 (건조/사막 지역용)
작물 이름 | 설명 | 특징 |
---|---|---|
수수 (Sorghum) | 사헬 지역에서 가장 흔한 곡물 | 고온·가뭄·불모지에서도 잘 자람 |
기장 (Millet) | 서아프리카 주식 | 빠른 성장, 적은 물, 모래 토양에도 적응 |
콩과 작물 (Cowpea, Chickpea 등) | 단백질 공급 | 건조에도 강하며 토양 질소 고정 |
테프 (Teff) | 에티오피아 전통 곡물 | 가뭄에 강하고 토양 요구도 낮음 |
캐슈넛 (Cashew) | 서아프리카에서 인기 | 적은 물로도 자람, 수출 작물로 유리 |
선인장 (Prickly Pear) | 열매와 패드 모두 식용 | 거의 물 없이도 성장 가능 |
올리브 (Olive) | 북아프리카 지중해성 기후 | 반건조·바위 토양에 적합 |
데이터야자 (Date Palm) | 북부 사막지역 대표 | 극한 가뭄에도 생존, 뿌리가 깊음 |
아마란스 (Amaranth) | 최근 각광받는 곡물 | 열·가뭄·빈약한 토양에 강함 |
🐪 물이 적게 드는 가축들
가축 | 설명 |
---|---|
염소 (Goat) | 극단적인 기후, 잡식성, 모래 지형에도 적응 |
낙타 (Camel) | 사막 생존 최강자, 장거리 수송도 가능 |
양 (Sheep) | 염소보다 약간 덜하지만 사헬 지대에 적합 |
기니 조류 (Guinea Fowl) | 닭보다 가뭄에 강하고 질병에도 강함 |
로컬 닭 (Local Chicken) | 적은 물로도 사육 가능, 마당 방사형에 적합 |
🔧 기타 참고
- 아프리카 농업기술연구소 (IITA) 등에서는 기후 스마트 작물 품종을 계속 개발 중입니다.
- 물 없는 지역에서는 드립 관개 시스템, 빗물 수집 저장통, 태양광 펌프를 함께 도입해 극적인 효율 향상을 꾀합니다.
이 작물들은 수입 종자가 아닌 현지 품종이나 개량 품종을 활용하면 생존율과 수확량이 크게 올라가며, 일부는 수출을 통한 외화 수익도 가능해 지속가능한 개발에도 기여합니다.